1. DNS는 무엇인가
Network/네트워크 일반2020. 5. 29. 14:50
반응형
정리 목적
- DNS는 웹 통신에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므로 트러블 슈팅에 반드시 필요한 개념
- Web 서버 작업시 관련된 항목을 체크하기 위해서라도 Flow나 확인 점검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
- 흐름만 알면 어렵지 않으니까
1. DNS의 필요 이유
- 네이버를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www.naver.com 이란 도메인으로 패킷을 생성할 수 없다.
2. DNS 란?
- www.naver.com 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아야 통신이 가능한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DNS이다. ( 문자열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
- TCP 53 / UDP 53 번을 사용하여 쿼리(Query)를 날린다.
* Query란,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 웹서버에 특정 정보를 보여달라는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이다.
- UDP 53 : 일반적인 DNS 질의 및 응답으로 사용됨.
- TCP 53 :
- Message 정보가 512Byte를 넘을 경우 TCP로 재 질의하여 사용되는 포트.
- 두 개 이상의 DNS 서버를 이용할 경우 Master에서 Slave로 Zone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안정성을 위해 사용.
- 일부 ISP에서 TCP53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음.
- Dig [URL] 조회시 확인 가능(하다고 함)
반응형
'Network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DNS 용어 정리 ( 추가중 ) (0) | 2020.05.29 |
---|---|
2. DNS 동작 과정 (0) | 2020.05.29 |
RIB, FIB, CEF 정리 (0) | 2020.03.09 |
Static Routing protocol Type (0) | 2020.02.12 |
BPS와 CPS (0) | 2020.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