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B, FIB, CEF 정리
Network/네트워크 일반2020. 3. 9. 03:38
반응형
전통적인 라우팅 처리 방식 = CPU를 사용한 Process switching
문제점으로는 CPU에 부하가 많이 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ASIC에서 라우팅 처리가 가능한 CEF방식이 나옴.
※처리 방식에는 Process switching, fast switching, cef switching 이 있다.※
CEF를 활성시키면 FIB와 Adjacency Table이 활성화된다.
FIB = CPU에 생성된 RIB(show ip route)를 기준으로 생성(복사)된 ASIC의 Routing Table
Adjacency Table = ASIC의 Mac Table로, Source Mac / Dest Mac / Ether Type 정보가 들어감.
CEF Switching은 위의 두 가지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출발지가 자기 자신이거나 목적지가 자기 자신인 패킷은 CPU에서 처리하고
나머지는 ASIC에서 처리한다.
CPU가 있는 Plane을 Control Plane이라 하며
ASIC이 있는 Plane을 Data Plane이라 한다.
시스코 뿐만 아니라 다른 제조사 장비들도 Data Plane에서 Packet Switching을 수행한다.
RIB 확인 방법 = show ip route
FIB 확인 방법 = show ip cef
Adjacency Table 확인 방법 = show adjacency
반응형
'Network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DNS 동작 과정 (0) | 2020.05.29 |
---|---|
1. DNS는 무엇인가 (0) | 2020.05.29 |
Static Routing protocol Type (0) | 2020.02.12 |
BPS와 CPS (0) | 2020.02.12 |
pps를 bps로 계산하기 (Throughput) (5) | 2020.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