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c Routing protocol Type

Network/네트워크 일반|2020. 2. 12. 22:48
반응형

본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서 설명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UTtDhdgqa4


1. OIF ( Outgoing InterFace) Routing Protocol

 - 수신한 Packet을 Routing Table에 선언된 Interface로 내보내는 방식

      EX) ip route 10.10.10.1 255.255.255.255 G0/0

 - 위와같이 설정시, G0/0에 10.10.10.1이 Directly Connected 되어있다 인식하게 됨

 - 아래의 절차로 Packet을 전달한다.

   1) Routing Table Lookup

   2) Destination IP를 Mac Table에서 Lookup

   3) (Mac Table에 없을 시) ARP Broadcast

   4) ARP를 수신한 장비가 Destination IP에 대해 Routing Table이 등록돼 있고,

       동시에 Proxy-ARP가 Enable됐을 경우 ARP Reply 전달

  5) ARP Reply를 받은 장비는 Packet을 Outgoing Interface로 전달

 

해당 기능을 사용할 경우의 문제점

 - Cisco의 모든 장비는 Proxy-arp가 Enable되어 있다.

  강력한 보안이 요구되는 요즘은 해당 기능을 Disable하도록 권장하고 있어서 문제

 

Static Routing도 Directly Connected로 표시돼 있다.

 

2. Next-Hop Routing Protocol

 - 설정한 Next-Hop으로 Packet을 전달하는 방식

  EX) ip route 10.10.10.1 255.255.255.255 10.10.10.254

 

- 아래의 방식으로 패킷을 전달하게 된다.

  1) Next-hop IP는 알지만 Out-going Interface를 모르기 때문에  Next-Hop에 대한 Routing Lookup을 함.

         ( 이것을 recursive routing  이라고 함. 예전에는 이것을 한번, 두번 할 수 있어서 장비 리소스를 차지하였지만,

        요즘 장비는 CEF Table 인해 Out-going interface를 미리 알아두기 때문에 Recursive 하지 않는다.)

  2) Lookup 된 Out-going Interface로 Packet을 Next-hop으로 전달

 

해당 기능을 사용할 경우의 문제점

- Next-hop IP의 Out-going Interface를 Lookup할 경우, 엉뚱한 Interface로 전달할 가능성이 있음

  EX) 아래의 이미지 참고

목적지에 대한 라우팅과 Next-hop에 대한 Out-going Interface를 보여준다
show ip cef

 

위의 그림에서 Ethernet0/0을 shutdown 하였다.

 

 

 

show ip cef

 

Ethernet0/0에 대한 Routing은 삭제됐지만, 10.10.10.1에 대한 라우팅은 삭제되지 않고 다른곳으로 나가게 된다.

 

 

## recursive lookup을 했던 라우팅에 문제가 생겨 다시 recursive lookup하게 될 경우, Routing에서 그대로 사라지는 버전이 있다. 그 이유는 Loop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Complete Static Routing Protocol

 - 명령어 설정시 Out-going Interface와 Next-Hop을 같이 선언해 주는 방식

   EX) ip route 10.10.10.1 255.255.255.255 G0/0 10.1.1.1   --> 해당 패킷을 G0/0으로 내보내고 10.1.1.1로 전달해라

 - recursive lookup을 하지 않음

 - 해당 인터페이스가 Down될 경우 Routing도 삭제된다.

 - 특별한 경우가 아닌이상 해당 방식을 권장함 

 

 

오늘의 내용 정리

1. Static Routing에는 세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2. ARP와 Recursive Lookup을 사용

3. Mac Table, Routing Table, CEF Table의 중요성

4. 위의 기술을 알아야 여러 프로토콜을 이해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됨. ( EX: BGP )

 

 

반응형

'Network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DNS는 무엇인가  (0) 2020.05.29
RIB, FIB, CEF 정리  (0) 2020.03.09
BPS와 CPS  (0) 2020.02.12
pps를 bps로 계산하기 (Throughput)  (5) 2020.02.01
알아보고 정리할 것들  (0) 2020.0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