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전송 방식 ( Store, Cut, Free )

Network/네트워크 일반|2019. 9. 4. 17:07
반응형

1. 스토어 앤 포워드 (Store and Forward)


 - 프레임을 모두 받아들이고 나서

  • 모든 Frame이 다 들어왔는지
  • 에러가 없는지
  • 출발지 목적지 주소가 확인

 

 - 위의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Drop 후 재전송을 요구, 에러 복원 능력이 뛰어남

 

 - 회선 및 출발지&목적지 매체가 다른경우에 자주 사용되는 방식임


2. 컷스루  ( Cut-Through )

 - 모든 Frame이 들오는것을 기다리는 Store and Forward 방식고 다름

 - Ehternet Fram의 목적지 Field(프레임 앞부분에 위치하며 48bit) 만 보고 전송처리.

 - 에러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빠른 대신 에러 복구는 취약하다.

 

2-1. 컷스루의 MAC Learning

 

Switch는 MAC Table을 만들 때, Input 되는 Frame의 Source Address를 학습하고  src mac은 dest mac 보다 뒤에 위치한다.

그러면 여기서, 컷스루 방식은 MAC Address Learning을 못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점이 들 수도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MAC Learning은 가능하다.

Dest MAC을 보고 Forwarding을 시작할 뿐이지 뒤에 위치하는 Src MAC을 확인 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모든 프레임을 수신한 뒤 전송을 시작하는 것과 맥 주소만 보고 전송을 시작하는 것,

시작의 타이밍만 다를 뿐 MAC Learning은 동일하다.

 


3. 프래그먼트 프리( Fragment-Free )

 - 위의 두가지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 에러감지가 가능하며 보다 빠른 것 ) 

 - 들어오는 패킷의 앞 512bit를 확인하기 때문에 Cut-Through 보다 에러 감지가 우수하다.

반응형

'Network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아보고 정리할 것들  (0) 2020.01.20
UDLD ( Uni-Direction Link Detection)  (0) 2019.11.25
DHCP 동작방식 ( Feat.Cisco )  (0) 2019.08.22
망분리 기초개념  (0) 2018.05.06
cisco 자동 ping  (0) 2018.03.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