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동작방식 ( Feat.Cisco )

Network/네트워크 일반|2019. 8. 22. 14:13
반응형

IP 설정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 방식이 있다.

 

1. IP를 수동으로 설정하여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2.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받아오는 방식 (DHCP)

 

오늘은 두번째 방법에 대해서만 알아볼 것이다.

 

DHCP 동작은 매우 단순하다.

 


1. IP할당방식이 DHCP일 경우, Client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Broadcast로 DHCP 서버를 찾는다. ( Discover packet )

                                                                         ( DHCP 서버님 어디계신가요~~!?) → Broadcast

 

2. DHCP 서버가 해당 Broadcast에 대한 응답을 Broadcast로 전달한다. ( Offer Packet )

                                                                         ( 네! 저는 여기있구요 제 IP는 x.x.x.x 입니다~! )

 

3. Client는 DHCP 서버에게 사용할 수 있는 IP를 요청한다. ( Request Packet )

                                                                         ( 서버님, 저에게 가용가능한 IP를 할당해주세요 )

 

4. DHCP서버는 Client에게 사용가능한 IP를 전달한다.  ( ACK Packet )

                                                                      ( 네, xxxx IP를 사용하시고 게이트웨이 및 dns는 ~~~입니다! )


위의 4개의 과정 후 Client는 개인이 사용가능한 IP를 할당받게 된다. 

  ( DHCP에 대해서 알아보는것이기 때문에 GARP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

 

Discover 과정에서 Flag가 1인경우는 Broadcast, 0인경우는 Unicast 방식으로 통신한다. 대부분 Broadcast이다.

 

Broadcast로 동작하는 과정 / 목적지 부분이 전부 255이다.

 

동작 절차는 위의 4가지가 전부이며, 여기서 다시 두가지로 나뉜다.

 


1. Client와 서버가 같은 대역일 경우

 

2. Client와 서버가 다른 대역일 경우


 

1번과 같은 경우는 기본 동작으로 진행이 되며, 

 

2번과 같은 경우는 DHCP서버로 향할 수 있는 Gateway Interface에 설정을 추가해야한다.

 

           IP helper-address [DHCP 서버 IP]

 

위의 명령어를 인터페이스에 추가해야 Client가 정상적으로 DHCP서버로부터 IP를 할당받을 수 있게된다. 

 


 

DHCP Helper 테스트

Client : R8 

ip helper-address 설정 : R1의 E0/0 ( 1.1.1.10)

DHCP 서버 : R6 (2.2.2.1)

 

 

- R1의 e0/0 에 IP설정 및 ip helper-address 를 설정한다.

 

- Client가 IP 요청패킷을 Broadcast 하면 R1이 이를 대신 DHCP 서버에 전달한다. 

  이때, 이 과정은 Unicast로 진행된다.

 

- IP요청 패킷을 전달받은 DHCP 서버는 출발지가 R1의 e0/0의 IP인것을 확인하고 Unicast로 응답을 전달한다.

 

- R1은 응답으로 받은 DHCP 서버 패킷을 Client에 전달한다.

 

- Client는 정상적으로 IP를 할당받는다.

 

기존방식과 다르게 출발지 및 목적지 IP에 1.1.1.10이 사용된다.

 


 

 

Conclusion.

 특징1. Broadcast로 통신이 된다. ( 대부분 )

 특징2. IP helper-address를 사용하면 SNAT가 되어 DHCP로 전달된다. (IP가 없기 때문에 SNAT된다)

 특징3. 위에서 언급은 안하였지만, IP요청을 받을경우 출발지 IP or In-gress된 Interface IP를 확인 한다음에, 일치하는 대역의 IP Pool에서 대여해 준다.

 

반응형

'Network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LD ( Uni-Direction Link Detection)  (0) 2019.11.25
스위치 전송 방식 ( Store, Cut, Free )  (0) 2019.09.04
망분리 기초개념  (0) 2018.05.06
cisco 자동 ping  (0) 2018.03.27
Cisco ACL의 in out을 헷갈리지 말자...  (0) 2017.03.16

댓글()